열정을 만드는 것은 실력과 관계다.
사실 열정을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실력이다.
앞서 소개한 브제스니에프스키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어떤 직업이든 그 일을 오래 할수록 열정적이고 행복해질 가능성이 높았다.
사람들은 자신의 일에 충분한 역량을 쌓을 수 있어야 열정적일 수 있었다.
업무를 수행하는 데 능숙해지고 유능감을 경험할 수 있어야 그 일에 열정을 느낀다.
그러므로 어떤 일에 열정적이고 싶다면 실력을 쌓을 수 있는 시간은 필수적이다. 잠깐 어떤 일을 경험하고 자신과 맞지 않
다고 느낀다면, 적성이 맞지 않거나 소명 의식을 느끼지 못해서가 아니라
그 일을 수행할 실력이 부족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훨씬 크다.
그리고 실력이 없는 사람에게 처음부터 자율성을 보장하고 의미감을 느낄 만한 중요한 일을 맡기는 조직도 없다.
열정을 느낄 수 있는 일을 찾아 자주 직업을 바꿀 것이 아니라
실력을 쌓을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실력이 열정을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열정을 느껴야 실력도 쉽게 느는 것이 아니냐고 반문할 수 있다.
그런데 연구에 따르면 수많은 직업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방법은 적성이 아니었다.
정교한 계획과 꾸준한 연습이 훨씬 더 중요한 요소였다.
실제 직장생활에서 열정을 경험한 사람들은 일을 하며 유능감을 경험하는 것 외에 또 다른 공통점이 있다.
이들은 모두 동료들과 끈끈한 유대감을 형성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열정을 만드는 두 번째 요인은 관계다.
관계적 갈등을 매일, 매 순간 경험하면서 직업에서 열정을 느끼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주변 동료들과 관계적 안정감을 경험하고 자신이 어려울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이 바탕이 될 때,
우리는 더 열정적일 수 있다.
자신의 분야에서 노력 에너지를 유지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현명하다.
처음부터 열정이나 소명 의식을 느껴서 행복해지는 경우는 없다.
우리가 업무에 열정을 느낄 수 있으려면, 자신에게 맞는 분야를 찾아 이곳저곳을 기웃거리며 헤매는 것보다는
한 분야라도 제대로 실력을 쌓고 좋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
그런데 매일 꾸준히 노력하면서 실력을 쌓는 것 역시 쉽지 않다.
노력을 쏟을 수 있는 에너지가 무한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을 처음 시작할 때는 작은 유능감을 자주 경험할 수 있어야 열정을 느끼게 되고,
열정은 다시 노력 에너지로 전환된다.
주변의 칭찬이나 인정, 격려와 같은 지지나 지원 역시 좋은 에너지원이다.
2019년 상하이대학교, 홍콩 과기대, 호주 커틴대학교 연구진들은
직장인들이 퇴근 후에 어떻게 시간을 보내느냐에 따라
다음 날 노력 에너지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퇴근 후에 다양한 활동들을 직장인들이 즐기고 있었지만,
다음 날 가장 열정적으로 일할 수 있었던 집단은 운동을 하거나 공부를 하는 등
건강이나 역량 개발을 위해 시간을 할애한 사람들이었다.
열정은 적성이나 소명 의식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일에 유능감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 에너지를 꾸준히 유지하면서
실력을 조금씩 쌓을 수 있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주변 동료들과 끈끈한 유대감을 경험한다면
열정은 더 빨리 우리가 하는 일에 찾아올 것이다.
[나는 내 일에서 소명 의식을 느끼고 있는가?]
소명 의식(calling) 검사
소명 의식이란 자신이 맡은 역할에 대한 목적과 의미를 행동으로 실천하며
타인을 돕고자 하는 가치와 목표를 중요한 동기로 삼는 것을 말한다.
소명 의식이 있는 직장인은 업무 몰입도가 높고 직무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낮다.
직업 경력 초반에는 소명 의식을 가지려 집착할 필요는 없지만,
직업적 숙련도가 오른 시점이라면 소명 의식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경영직장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예시 알아보기 (2) | 2023.05.21 |
---|---|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가이드라인 B. 알아보기 (0) | 2023.05.20 |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가이드라인 A. (0) | 2023.05.19 |
직장내 괴롭힘 에 대해 알아보기 (4) | 2023.05.17 |
슬기로운직장생활1. 하고 싶은 일을 하면 행복해질 것이라는 착각 (1) | 2023.05.15 |